중국에서 코로나19가 진정세를 보이고, 제일 위험한 우한시에서도 확진자 증가 수가 줄어드는 한편 천 개 이상의 병상이 빈다는 소식이 나온다. 간단한 산술로도 알 수 있다시피 최근 며칠 동안 우한에서 매일 새로 늘어나는 확진자 수가 수백지만 출원자(퇴원자) 수는 천에 가깝거나 그 이상이었으니까 전날 꽉 찼던 병상들에 여유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우한을 제외한 후베이성의 다른 지역들에서 일간 확진자가 고작 수십 명씩 늘어나고, 후베이성을 제외한 전국 다른 지역들에서는 일간 증가 수가 한 자릿수로 내려왔으니 중국인들이 한시름 놓게 되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다른 나라들에서 대량 퍼지면서 중국인들이 역수입을 걱정하게 되었다. 경계대상 제1호는 요즘 확진자가 폭증하는 한국. 한 달 남짓이 집에 틀어박혀 보내면서 코로나19관련 정보들을 엄청 많이 접수해 전문가가 다 된 중국인들은 여러모로 걱정스럽다. 한국인들이 중국으로 도망쳐와서 무료치료를 받으려 한다는 낭설에 동조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보다 많이는 한국의 너무나도 빠른 증가세와 그에 비해 느려 보이는 대응 속도에 주목하는 터이다.
한국 하면 연예계나 체육계 소식들이 인터넷 검색 앞자리를 차지하던 것과 달리, 요즘은 코로나 관련 소식들이 사이트나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서 실시간 검색 앞자리에 오른다. 문재인 대통령이 확진자의 밀접접촉자(이승호 대구 경제부시장을 가리킴)와 가까이 있었다는 소식은 한국에서 보도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에서 퍼지면서 숱한 이들의 걱정을 자아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마스크를 착용했으나 코와 입 아래로 내리고 마이크 앞에서 발언하는 사진은 저러다가 감염되면 어쩌냐는 댓글들을 이끌어냈다. 중국에서는 마스크로 얼굴 대부분을 가린 채로 말하는 게 수많은 동영상과 사진들을 통해 국민들의 공통한 인식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사실 기자회견, 브리핑, 티브이 방송의 대담 등에서 알리다시피 마스크를 끼고 말해도 소리전달에 별 영향이 없다. 그런데 한국 보도에 의하면 문재인 대통령만이 아니라 권영진 대구시장도 마스크를 내리고 발언하니까 중국인들로서는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다.
26일 문재인 대통령 건과 더불어 실시간 검색 앞자리에 오른 한국 소식은 “한국 지방정부가 신천지교회 본부를 강제수색했다”였다.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공무원들을 파견하여 과천의 신천지교회 본부에 가서 신도 명단을 확보하게 한 소식인데, 신천지 때문에 코로나19가 급증했음을 아는 중국 네티즌들은 일제히 찬사를 보냈고, 일부 네티즌들은 이재명 본인을 알아보기도 했다. 어, 저 사람 언젠가 추자현 부부와 같이 예능프로에 나왔잖아? 저 사람은 시장인데? 전에는 시장이었지만 후에는 도지사로 되었다. 저 괜찮은 사람이야, 그 부인도 무척 귀엽고...
한국 정치인들은 중국에서의 인지도가 연예인들에 비할 바 없이 낮아 지난해 황교안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 단식기간에 아무리 《환구시보》가 “한국 대통령 인기 후보(韩国总统热门候选人)”가 단식했다, 쓰러져 병원에 실려 갔다 등으로 요란스레 보도했어도 댓글들이 별로 달리지 않았고, 웨이보에서는 아무런 반향도 없었다. 그러나 코로나19는 국제적으로 퍼지는 질병인 만큼 중국인들이 무척 관심하다 나니 경기도 정부의 처사가 곧 중국에 전해지고 따라서 이재명 지사도 중국 네티즌들에게 알려진 것이다. 그 얼굴과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겠다만, 이제 이재명 지사가 대통령 선거에 나서는 경우 “전날 그 신천지교회 본부를 들이쳤던 사람” 하면 중국인들이 “아, 그 사람”하고 좋아할 확률이 높다. 튀는 발언으로 중국에서 한국 이미지를 팍팍 깎는 엄청난 악영향을 끼친 전광훈 목사의 현재 지명도에는 비기지 못한다만 이재명 지사가 중국인들에게 일단 눈도장을 찍어놓은 건 틀림없다.
한국 코로나19 확진자 수의 폭증에 대해, 다수 중국 네티즌들은 근심하는 한편 한국 정부가 열심히 일하기에 그렇게 확진한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보다 더 위험한 게 사실 일본이라는 주장이 상당한 호응을 받는다. 한국의 일간 검사수가 수천 명인 데 비해 일본은 최근의 최고 검사 수가 고작 900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코로나19 확진자는 일본에서 한국보다 먼저 나타났고 그동안 확진자 수가 줄곧 한국보다 많았으며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내린 일본인들도 많은데, 지금까지 공개된 확진자들이 한국보다 너무 적으니 의심스럽다는 게 많은 중국인의 생각이다. 더욱이 일본은 최근에 뒤늦게야 코로나19 대응 정책을 발표하면서 검사에 많은 선제조건을 붙여서 발열, 기침 증상이 있는 사람들이라도 코로나19 감염 여부검사를 받기 어렵도록 했다. 이는 결국 코로나19 감염자 통계수자를 줄이어 일본 정치와 경제 그리고 도쿄 올림픽에 대한 충격을 줄이겠다는 꼼수가 아니냐는 질문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호흡기 질병이 겨울에 유행되고 여름에는 대체로 사라지는 관례에 비추어, 일본 정부가 도박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코로나19 감염자, 사망자가 늘어나더라도 감출 수 있을 만큼 감추다가 더운 여름에 병이 절로 없어지면 도쿄 올림픽을 무사히 치를 수 있으니까...
코로나19가 주로 중국에서 퍼질 때에는 중국의 집계 수자를 믿지 못하겠다는 외국인들이 많았는데 이제 와서는 외국들의 집계 수자가 의심스럽다는 중국인들이 늘어난다. 증가 속도가 느리거나 정지된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나라들과 요즘 급속도로 늘어나는 한국, 이탈리아, 이란 등에 대해서는 믿지만 믿을 수 없는 1순위는 물론 일본이고 2순위가 미국이며 3순위가 감염자 3명뿐이라는 인도이다.
한편, 코로나19에 대한 나라별 대응 방식과 사고방식도 시선을 끈다. 미국과 일본은 코로나19 감염자, 사망자들을 다른 질병 감염자, 사망자로 처리한다는 의문을 자초하고,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1월 말 리센룽 총리가 직접 나서서 치사율이 돌림감기 정도라면 특별조치를 취하지 않겠다는 발언을 했다.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로서는 소수 중증환자들만 치료하더라도 부담이 엄청나기에 경증 환자들은 아예 무시하려는 것이었다. 요즘 확진자가 많이 늘기는 했으나 아직도 100명 미만이라 싱가포르가 감당할 수 있는데, 더 퍼지는 경우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싱가포르로서는 다행한 게 동남아국가들의 발병률과 치사율이 아주 낮다는 것. 특별조치, 전수치료를 하지 않는다는 도박을 하는 밑천이 있는 셈이다.
미국, 일본, 싱가포르와 달리 중국은 전수 조사, 전수 치료를 고집해온다. 한국도 전수 조사에 집착하고 전수 치료를 해왔는, 대구, 경북에서 감염자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다음에는 전수 조사, 전수 치료가 어려워졌다. 밀접접촉자와 의심 환자 전수 조사는 그나마 해낼 수 있더라도 전수 치료는 음압 병상 등 의료자원 부족으로 실현하기 힘들다. 대구에서 벌써 상당수 확진자를 집으로 돌려보내 자가격리하게 했고, 26일 오후에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브리핑에서 경증 확진자들을 자가격리치료로 전환하자고 제기했다.
미국, 일본이나 싱가포르가 적당한 타조 정책을 실시한 근거가 중국에서의 코로나19의 낮은 치사율이고, 한국의 전문가들이 자가격리치료를 내세운 근거 또한 중국 사례를 보면 “가벼움” 환자가 80%라는 데이터다.
그런데 중국의 낮은 치사율에는 사실 무서운 함정이 숨겨져 있다. 후베이성을 제외한 지역들에서는 확실히 사망자가 2월 25일까지 고작 100명으로서 12,877명 확진자 수의 1% 미만인데, 이는 각 직할시, 성과 자치구들이 대량의 의료자원을 동원하여 적게는 1명(티베트)이나 18명(칭하이성), 많게는 1천 수백 명(광둥성, 허난성, 저장성 등)에 이르는 확진자들을 열심히 치료한 덕이다. 그리고 후베이성에서의 사망률은 4%(2615/ 65187)이고 후베이성 우한시의 사망률은 4. 4%(2085/ 47441)로서 타지방보다 높은데, 중요한 원인은 성과 시에서 초기에 의료자원 부족으로 경증 환자들을 전부 수용, 치료하지 못해 중증으로 발전한 것이고, 그나마 4%대를 유지한 건 전국의 절반 이상 전염병, 호흡기 질병 및 기타 중증 치료 전문가들이 후베이성 특히 우한시에 집중하여 전력 치료한 결과이다. 따라서 현재 중국의 사망률은 결코 코로나19의 실제 치사율을 반영하지 못한다. 이란의 경우 26일 현재 139명 환자, 19명 사망으로 치사율이 13%를 넘겼다.
그리고 경증환자 수가 80%라 해서 결코 마음을 놓을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코로나19가 본질적으로는 자기 국한 질병이어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낫는 경우가 많다지만 예외도 많기 때문이다. 2003년에 사스와 싸워본 중국 의사와 간호사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게 치료가 사스보다 어렵다이다. 멀쩡하던 경증환자가 갑자기 중증환자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고, 한참 치료하여 안정세를 보이던 환자가 급작스레 위중환자로 되어 사망하는 경우들도 부딪쳤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증세 “가벼움” 환자라고 해서 무턱대고 “자가격리 치료”에 맡기다가는 그 본인은 물론 가족들까지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자가격리에는 다른 위험도 숨겨져 있다. 심리 붕괴이다. 인도에서 1월 말에 벌써 코로나19 감염을 의심하여 목 매어 자살한 사건이 생겨났고, 중국 우한에서는 역시 감염을 의심한 51살의 중년 남성이 가족들에게 피해 주지 않겠다면서 가출하여 자살한 사건이 요즘 발생했으며, 감염을 의심하여 인터넷 검색으로 알게 된 약들을 너무 먹어 그 부작용 탓으로 ICU 병실에 실려 들어간 여성도 나왔다. 위의 예들은 다행히도 실제 감염자가 아니었는데, 만약 어느 감염자가 정신적으로 붕괴돼 집에서 자결하거나 어디 나가서 자살한다면 엄청 위험하다.
전문 병원과 병상 등 의료자원 부족을 해결하고 코로나19 감염자들을 전수 치료하기 위해 중국에서 내놓은 대책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전문 병원 신설이니 우한시에다 10여 일 동안에 병상 1,000개의 훠선산 병원, 1, 500개의 레이선산 병원을 만든 게 대표적인 사례이고 전국 여러 곳에 그런 병원들이 생겨났다. 대형 병원들의 신속한 건설과 사용에 대해 한국을 비롯한 외국 언론들은 풍자와 비난이 많았는데(코로나19 정국의 3대 바보? http://www.jajusibo.com/49348) 실제로는 잘 돌아가면서 많은 환자들을 치료했고, 현재 레이선산 병원에서는 현재 병상 수백 개가 남아돈다니까, 우한에서의 코로나19 치료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고속도 병원 건설은 토지의 공유제, 단일정당의 집권 및 뛰어난 건설능력을 갖춘 중국만이 해낼 수 있다는 게 통설이다. 하기에 한국에서 대구나 경북에 전문 병원을 새로 짓는 건 비현실적이다. 허나 중국의 다른 대책은 한국이 얼마든지 써먹을 수 있다. 중국어로 "팡창이위안(方舱医院, 팡창병원)"이라고 부르는 간이병원이다. 이는 워낙 군대 야전병원의 일종으로서 영어로는 “module hospital”이라고 부르는데, 중국이 이번에 대형 민간용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체육관, 공장, 호텔 등에 병상들을 설치하여 경증환자들을 수용, 치료하는 팡창병원은 2월 5일 개업(?)한 이래 수많은 병자를 받아들였고 출원한 사람들도 많다.
초기에는 교차 감염이 일어나면 어쩌느냐는 우려가 컸으나, 모두 확진자들이므로 다시 감염되지 않는다는 해석이 나왔고, 초기 입원 환자들은 넓은 공간에서 숱한 사람들이 서로 뻔히 보면서 생활하고 자니까 불편을 호소하면서 “진짜 병원”으로 보내 달라고 졸랐으나 의사와 간호사들의 참을성 있는 설득, 열성스러운 치료를 통해 차차 안정되었고 심지어 거기에서 노래하고 춤을 추었으며, 일부는 완치되어 출원하면서 떠나고 싶지 않다고까지 말했다.
팡창병원은 적게는 수백 명, 많이는 천 명 이상 환자들을 수용하여 치료하고, 전문 병원에 비해 적은 수의 의료진으로 많은 환자를 다루는 이점이 있다. 매일 정밀검사를 진행하여 일단 병세가 중해지면 전문 병원으로 이송하는 등 체제도 구비되어, 요즘은 팡창병원 거부자가 없어졌다 한다. 특히 최근에 새로 지은 팡창병원들은 전과 달리 격리단위를 작게 하여 전문 병원 병실과 엇비슷해졌다고 한다.
우한시에는 한국 의사가 남아있고 한국 총영사가 최근 부임도 했는데, 그런 이들이 팡창병원의 구조와 특징, 운용방식을 고찰하여 본국에 전한다면, 그야말로 대구, 경북의 어려움을 푸는데 일조하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자주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코로나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