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추도식에는 조국과 민족을 위해 헌신했던 이창기 기자를 기억하고 함께하는 사람들이 참가했다.
이창기 기자가 민족의 문제를 함께 논하며 극진히 모셨던 김병길 자주시보 대표는 “사랑하는 이창기 동지, 시간이 지나가면 기억도 사라져간다지만, 그대의 추억만은 세월이 흐를수록 새로워집니다”라고 회고했다.
김병길 대표는 “그대 끓는 심혼을 바쳐 키운 우리 자주시보, 거친 토양에도 뿌리를 깊이 내려, 이제 비바람을 꿋꿋이 이겨내고 있으며, 그대의 높은 뜻 이은 젊은 일꾼들이 튼튼히 자라고 있다”라며 “자주시보가 외치는 함성마다, 힘찬 그대의 목소리가 어려 있으며, 자주시보 기사의 글줄마다 언제나 그대의 숨결이 스며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창기 동지, 우리는 결코 그대를 타계에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 그대의 고귀한 애국애족의 염원과 실천, 그대의 순결한 인간 사랑의 진정은, 언제나 우리의 가슴속에 길이길이 살아 있을 것이며, 자랑스러운 조국통일운동사에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있을 것”이라고 추모했다.
생전 이창기 기자를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따랐던 어린이 청소년단체 세움 학생들은 “책을 기증해 주셔서 감사하다”라며 “이창기 선생님처럼 실력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겠다”라고 다짐했다.
이창기 기자가 언제나 아끼고 사랑했던 한국대학생진보연합 대학생들도 ‘통일이 오면’ 노래 공연과 결의 발언으로 그를 추모했다.
대학생들은 “저희 대학생들, 이창기 선배님 같은 후배가 되어 우리 국민을 위협하는 외세의 그림자를 떨쳐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언제나 우리 민족의 승리를 바라보며 낙관으로 무장하셨던 이창기 선배님의 삶을 따라 열심히 투쟁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은진 국민주권연대 공동대표는 “너무 소중한 동지를, 그토록 젊은 나이에 떠나보내고 1년이 지나고 2년이 지나니 어느새 이렇게 찾아오는 날이 아니면 점점 기억에서도 희미해지는 것이 아닌가 미안한 마음도 크다. 떠나기 전날, 처음으로 병원을 찾아갔는데 보자마자 활짝 웃던 그 모습을 잊을 수가 없다”라며 끝내 참았던 눈물을 터뜨렸다.
이어 김은진 공동대표는 “먼저 간 동지들이 그토록 바랐던 미제를 끝장내고 자주통일로 가는 그 길이 서서히 보인다”라며 “우리가 누구보다도 먼저 앞장에 서자. 3주기에는 진짜 승리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마지막 땀방울, 핏방울 하나까지도 바치고자 했던 이창기 동지의 뜻을 반드시 이뤄내겠다”라고 말했다.
이후 황선 평화이음 이사가 추도시 ‘감사편지’를 낭독했으며, 참가자들은 이창기 묘비에 헌화했다.
한편 유가족은 추도식에서 참가자들에게 고마움의 인사를 전했다.
이창기 기자의 큰형 이래철 씨는 “변함없이 와주셔서 동생을 생각하고 기려주시고 영원히 해주시는 것에 대해서 가족을 대표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며 “저렇게 맑게 뛰어놀고 있는 어린아이를 보면서 내 동생이 추구하고 있는 이념과 사상은 다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이렇게까지 사람을 끌어모을 수 있었던 어떠한 힘이 있었다고 하는 것에 대해서 잔잔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창기 기자 2주기 추도식 영상]
<저작권자 ⓒ 자주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창기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이창기 기억하며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