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후쿠시마 핵오염수 3차 해양투기를 시작한 날인 2일, “우리 국민은 일본의 마루타가 아니다”라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일본은 오늘(2일)부터 7,800톤에 이르는 핵오염수를 17일간에 걸쳐 해양투기할 계획이다.
일본 방사성 핵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공동행동(공동행동)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광장의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의 핵오염수 해양투기와 이를 두둔하는 윤석열 정부를 규탄했다.
공동행동은 기자회견문에서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를 시작한 지 두 달 동안 바다에는 급격한 변화가 시작됐음을 확인했다”라며 “지난 10월 21일에는 오염수 투기 이래 최대치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핵오염수를 처리한다는 알프스는 제 기동조차 힘겹다”라며 “오염수 탱크에 ‘녹’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오염수 펌프 필터에 부착되어 막히는 설비 고장이 일어나고, 3차 방류분 오염수의 시료에서는 2차 때보다 많은 방사성 물질이 높은 농도로 검출되는 등 일본 정부의 오염수 처리 과정에 문제점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라고 짚었다.
특히 지난달 25일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 배관 청소를 하던 일본의 노동자가 분출된 핵오염수에 피폭되는 사고가 발생한 것을 공동행동은 상기시켰다. . 공동행동은 “일본 정부는 즉각 해양 방출을 중단하고 자국 육상에 보관하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 또한 우리 정부는 일본의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대한 책임을 물어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일본을 즉각 제소하라”라고 요구했다.
김영환 환경보건시민센터 연구위원은 “바다는 쓰레기장이 아니다. 한국 정부는 당장 일본의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하는 입장을 밝히라”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이정윤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는 “일본은 핵오염수를 세 차례나 방류하고 있는데 항의 한마디조차 못 하는 윤석열 정부의 무능을 규탄한다”라고 말했다.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명예교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일본 정부의 핵오염수 투기 계획이 국제 기준에 맞는다고 한 ‘국제 기준’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한 적이 한 번도 없다”라며 “‘국제 기준’이라는 기준을 가진 국가들은 원전이 있는 국가 중에서도 소수이다. 기준을 가진 국가들의 기준도 국가별로 제각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핵오염수가 바다로 방류되면 소수의 사람이 방사능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모든 사람이 다 노출된다. 방사능에 노출되는 인구가 많아지는 것”이라며 일본의 해양투기를 규탄했다.
최수산나 한국YWCA연합회 시민운동국 국장은 일본의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두둔한 윤석열 정부로 인해서 국민혈세가 낭비된다며 “윤석열 정부는 국민의 혈세를 무너져가는 복지와 사회적 약자를 위해 사용하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종탁 전국먹거리연대 집행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우리 국민이 일본 정부의 경제이익을 위해 소모되는 마루타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의 해양투기를 막을 생각도, 자신도 없다면, 국민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면 윤석열 대통령은 당장 퇴진하라”라며 “우리는 11월 11일 핵오염수 해양투기를 막아내지 못한 윤석열 정부의 퇴진을 위해 민중총궐기를 개최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참가자들은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투기 즉각 중단하라”, “핵오염수 해양투기 방조,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정부는 일본을 국제해양법재판소에 제소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고 기자회견을 마쳤다.
한편 공동행동에 이어 대학생 단체들이 오는 11일 열리는 ‘윤석열 정권 심판의 날 시민대회’ 집단 참가를 밝히는 기자회견을 같은 장소에서 개최했다.
대학생 단체들은 “핵오염수 투기 묵인, 참사 책임 회피, 민생파탄과 노동자, 서민에게 경제 실패의 책임을 떠넘기는 윤석열 정권 심판의 목소리를 대학가에서 모으기 위해 ‘윤석열 정권 심판의 날 시민대회 Two 옐로카드 청년학생 참가단’을 모집한다”라고 밝혔다.
현재 청년학생 참가단에 6.15청학본부 대학생분과, 대학생 역사동아리연합, 대학생 겨레하나, 진보대학생넷, 청년하다, 청년진보당, 한국대학생진보연합 등이 함께하고 있다.
아래는 공동행동 기자회견문이다.
<저작권자 ⓒ 자주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핵오염수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